반응형
풋살의 매력과 특성 - K-풋살의 이야기
이 포스팅은 경상남도 교육청에서 발간한 '풋살실기지도서및 수업과정안'의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.
풋살의 주요 특성
지도서에서는 풋살의 특성을 매력이라고 표현했지만, 풋살의 기본 특성으로 보면 될 듯하다.
- 적은 인원으로 축구를 할 수 있다.
- 반칙에 대해 엄격하다.
- 2분 퇴장 규칙이 있다.
- 화려한 개인기를 볼 수 있다.
- 골키퍼를 제외하고는 특별히 공격수와 수비수의 구분이 없다.
- 좁은 도시 공간에서도 가능한 운동이다.
지도서에서는 풋살을 종종 실내축구로 칭하며 축구라는 단어와 혼용하고 있다. 이러한 풋살의 특성이 현재 한국 아마추어 풋살에 붐이 일어난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.
풋살 인구 증가 배경
과거 초등학교 체육 시간에는 주로 남자아이들이 공을 차고 싶어 했지만, 요즘은 인원 부족으로 11대11 경기가 어렵다.
성인들도 축구를 하려면 11:11, 여유 인원까지 최소 25~30명이 필요한데, 조기 축구회가 아니면 축구를 즐기기 어려워졌다. 이로 인해 인원이 적어도 가능한 5대5 풋살이 인기를 끌게 되었다.
풋살과 축구의 다른 점 - 2분 퇴장 규칙과 개인기
- 2분 퇴장 규칙
아마추어 풋살에서는 파울이 거의 없어 사실상 적용되지 않지만, 2분 퇴장은 풋살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규칙이다. - 화려한 개인기
좁은 구역에서 일대일로 마주하는 상황이 많아, 바닥 마찰력에 따라 화려한 개인기를 볼 수 있다. 특히 인도어 코트에서 개인기와 드리블 돌파가 자주 나온다.
한국에는 인도어 코트가 많지 않아 FK리그를 통해서만 볼 수 있는데, 용병들의 개인기가 돋보이는 편이다. 물론 한국 선수 중 문희재 선수처럼 뛰어난 개인기를 가진 선수도 있지만, 인조잔디와 인도어 코트에서의 개인기는 다르다는 점이 있다.
풋살의 전술 - 포지션 구분과 파워플레이
- 골키퍼를 제외하고 포지션 구분이 없다
풋살에서는 후방에서 공을 돌리던 수비적 선수가 곧바로 공격에 참여해 골을 넣기도 하고, 최전방의 공격수가 수비 역할을 하며 골문을 지키기도 한다. - 파워플레이와 골레이로
풋살에서는 골레이로(골키퍼)가 전진해 공격에 참여할 수 있다. 아마추어 풋살에서는 골키퍼가 골문을 비우는 것이 위험하고 무례한 플레이로 여겨지지만, 프로 풋살에서는 팀이 불리할 때 중요한 전술로 사용된다.
축구의 후방 빌드업보다도 더 큰 역할을 하는 파워플레이는 풋살만의 특징이다.
풋살의 또 다른 매력 - 볼터치 빈도
풋살에서는 볼터치 횟수가 축구보다 5~10배 많다. 이는 풋살이 축구보다 공을 자주 만질 기회를 주기 때문에 초보자들에게 실전 감각을 익히기 좋은 운동이다.
축구공과 풋살공의 느낌은 다르지만, 아마추어 선수들이 풋살을 통해 더 많은 볼터치를 경험하며 실력을 쌓는 데 유리하다.
한국 풋살에 대한 바람
축구와 풋살 모두 각기 다른 매력이 있다. 다만 한국에서도 인도어 코트 풋살이 일상화되어 진정한 풋살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길 바란다.
끝.
반응형
'풋살 > 풋살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Ⅰ. 풋살의 묘미 - 5. 풋살에 발바닥을 사용하는 이유 (0) | 2024.11.01 |
---|---|
Ⅰ. 풋살의 묘미 - 4. 풋살의 마음가짐 (4) | 2024.11.01 |
Ⅰ. 풋살의 묘미 - 3. 한국에서의 풋살 (4) | 2024.11.01 |
Ⅰ. 풋살의 묘미 - 1. 풋살의 이해 (2) | 2024.11.01 |
풋살이란 무엇인가? (0) | 2024.11.01 |